
사업기간 (2018.04.30 ~ 2023.12.31)
- -1단계 (2018.04.30 ~ 2020.12.31)
- -2단계 (2021.01.01 ~ 2023.12.31)
최종목표
Body Morphometry 를 이용한 인공지능기반 진단 및 치료 의사결정 보조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임상코호트의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축하고, 개발된 기술을 엄격한 기술적/임상적 검증을 통한 실용화
단계별 수행 계획
1단계 (온디맨드 개방형 인공지능 학습센터 구축 및 운영)
- -데이터와 기술의 수요
- ·공급을 연결하는 개방형 온디맨드 인프라
- ·데이터 수요자와 기술 공급자(기업, 연구자)간 연결 및 기술 수요자와 데이터 공급자(병원)간 연결 지원
- ·클라우드 기반의 학습용 빅데이터 플랫폼 지원서비스 시작
- -개방형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운영 프로세스 구축
- ·데이터 분양 및 연계 방안 : 맞춤형 데이터셋 방식, AI용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, Open API 방식
- ·데이터/인프라 제공자에 대한 보상체계 : 지적재산권, 매출공유
- ·클교육프로그램 : Morphometry, AI 인허가 등 최신지견 교육
- -건강검진자 코호트 확대 : 총 5만명 이상
- -기술수요기관의 요청에 따른 고품질 맞춤형 데이터셋 제공
- ·고품질 데이터 수집, 선별, 품질관리 및 학습용 데이터셋으로 가공
- -목표제품에 대한 임상적 자문
- ·임상자문단 구성하여 Unmet needs 및 임상활용 자문
- -질환별 코호트 확대
- ·학습 및 검증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총 5만명 이상으로 코호트 확대
- -사용자 맞춤형 데이터 처리기능 구현
- ·3D 영상의 slice 간 interpolation 및 3D 볼륨화 기술 개발
- ·데이터 큐레이션(Curation) 기능 구현
- -클라우드 및 소프트웨어 보안체계 구축
- ·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따른 시스템 및 VPN을 이용한 보안망 구축
- ·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인증 획득
- -인공지능 학습 모듈 고도화 기술 개발
- ·딥러닝 네트워크 설계 인터페이스 및 유효성 검증환경 구축
2단계 (구축된 인공지능학습센터의 확장)
- -한국을 대표하는 Korea Body Morphometry 연구회 구성
- ·CDM 구축된 국내 12개 대학병원 컨소시엄 구성 및 공동코호트 구축
- ·제품화 및 사업화를 위한 기업 연계 협력 연구 진행
- -글로벌 비즈니스 사업화
- ·외국 회사/기관의 협력; 코호트 교환 및 광범위한 사업 (예시 : 메디커런트)
- ·각 나라 별 인허가/판권 협력
- -활용 질환의 적응 범위 확대
- ·다양한 질환에 대한 Body morphometry 적용 연구 확대
- -근감소증 관련 제품에 적용될 표준진단지표 및 진단기준의 국제표준화
- ·International sarcopenia society에 proposal 제출
- ·대규모 임상근거 창출